인디해커처럼 빠르게 사업 검증하는 방법

인디해커처럼 빠르게 사업 검증하는 방법
Photo by Carl Heyerdahl / Unsplash

요즘 시대는 아이디어만으로 먹히지 않는다. 빠르게 만들고, 빠르게 부딪혀야 한다. '사업 검증', 인디해커들은 이렇게 한다.

1. 아이디어를 빠르게 테스트한다

  • 아이디어는 머릿속에 오래 담아두지 않는다.
  • 2~3일 안에 "형태"를 만들어본다.
  • 완벽한 게 아니라, "이게 대충 이런 서비스다"를 보여줄 수 있는 정도면 충분하다.

중요: "아이디어 → 실체화" 속도가 인디해커의 무기다.

2. MVP를 빠르게 오픈한다

  • 완벽히 기능을 다 만들 필요 없다.
  • 핵심 기능 하나만 되면 바로 세상에 공개한다.
  • 오픈하지 않은 서비스는 아무 의미 없다.

중요: "될듯한" 상태라도 오픈하는 용기 가 필요하다.

3. 진짜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받는다

  • 친구, 가족에게만 보여주지 않는다.
  • 트위터, 레딧, 인디해커스(Indie Hackers) 같은 커뮤니티에 공유한다.
  • 완전 모르는 사람의 반응을 확인해야 한다.

중요: "모르는 사람이 써야" 진짜다.

4. '지갑을 열 의사'를 확인한다

  • 단순 가입자 수만 보지 않는다.
  • 이 서비스에 대해 돈을 쓸 의사가 있는지 확인한다.
  • 무료로는 다들 좋다고 한다. 지갑을 여는 건 별개의 문제다.

중요: "무료 가입자" ≠ "지불 의사 있는 사용자"

5. 반응 없으면 빨리 버린다

  • 애착 금지. 미련 금지.
  • 반응이 없으면 과감히 포기하고 다음 아이템으로 넘어간다.
  • 시장이 반응하지 않으면, 답은 항상 시장에 있다.

중요: "살릴 수 있는 건 시장이 살린다. 개발자가 살리는 게 아니다."

✨ 정리

빠르게 만든다.
빠르게 오픈한다.
빠르게 피드백을 받는다.
빠르게 개선하거나, 빠르게 버린다.

🛠 실천 체크리스트

  • 아이디어를 3일 안에 MVP로 만든다
  • 완벽하지 않아도 바로 오픈한다
  • 트위터/레딧/커뮤니티에 공유한다
  • 지불 의사를 확인한다
  • 반응 없으면 미련 없이 다음 아이템으로 넘어간다

✍️ 마지막 한마디

"아이디어는 금보다 싸다. 실행이야말로 진짜 가치다."

1. 아이디어 빠르게 테스트

2~3일 안에 서비스 초안 만들기

2. MVP 빨리 오픈

100% 완성된 것보다 “될듯한 것” 먼저 오픈

3. 진짜 사용자 피드백 받기

트위터, 레딧, 인디해커스 커뮤니티 공유

4. 돈 쓸 의사 확인

“무료 가입”이 아니라 “지갑 열 의사”를 체크해야 진짜 검증

5. 반응 없는 건 버린다

애착 금지. 반응 없으면 바로 다음 아이템으로 넘어간다